마이산은 1979. 10. 16.전라북도에서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공원면적은 17.221km2로 큰편은 아니다. 구역으로는 진안읍 5개리, 마령면 4개리에 걸처 있으며 많은 문화재와 볼거리를 가지고 있다
마이산은 산 자체가 국가지정 명승 제 12호로 지정되었고, 수성암으로 이루어진 673 m의 암 마이봉과 667 m의 숫 마이봉의 두 봉우리로 형성되어있으며 신라시대에는 서다산, 고려시대에는 용출산이라 했고, 조선시대부터 말귀를 닯았다 하여 마이산이라 불리어 왔다. 동봉을 숫마이봉(667m), 서봉을 암마이봉(673m)이라고도 한다. 동봉과 서봉은 약 20m 간격을 두고 있으며, 주위에는 부귀산·성수산 등이 있다.
마이산은 중생대 후기 약 1억년전까지 담수호였으며 대홍수시 모래 자갈등이 밀려 호수를 메우고 물의 압력 의하여 이루어진 수성암이며 약 6 ~ 7천만전 지각 변동에 의하여 융기되어 마이산을 이루었으며 지금도 민물고기 화석이 간혹 발견되고 있으며 자연이 만든 최대의 걸작품이다.
<문화재>
마이산도립공원에는 국가지정 명승 1점(마이산 - 12호) , 천연기념물 2점(청실배나무 - 386호. 줄사철나무 군락 - 380호), 보물 1점(금당사 괘불탱화 - 1266호), 지방기념물(마이산석탑 - 35호), 지방유형문화재 2점(금당사 목불좌상 - 18호. 강정리 5층석탑 - 73호)등 많은 문화재가 있다
<마이산의 전설>
마이산은 아득한 옛날 남녀 두 신선이 이곳에서 자식을 낳고 살았다 하는데, 등천할 때에 이르러 남신이 이르기를 "우리가 등천하는 모습을 아무도 봐서는 안되니 밤에 떠납시다"하였으나 여신은 밤에 떠나는것은 무서우니 새벽에 떠나자고 했다 한다.
그러나, 새벽에 떠날 즈음 마침 새벽 일찍 물길러 나왔던 동네 아낙이 등천하는 두 신선을 보고 놀라 소리치는것을 듣고 등천이 틀린것을 안 남신이 화가나서 "여편네 말을 듣다 이꼴이 되었구나"하고 여신으로 부터 두 자식을 빼앗고서 발로 차 버리고는 그자리에선 "바위산"을 이루고 주저 앉았다 한다.
이것은 구전되어 내려온 전설이기는 하지만 마이산을 진안쪽 북에보면 아닌게 아니라, 동편 아빠봉에 새끼봉이 둘 붙어 있고, 서편의 엄마봉은 죄스러워서인지 수치심에서인지 반대편으로 고개를 떨구고 있는 모습이라 새삼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산행코스] 덕천교~486봉~광대봉 갈림길 삼거리~고금당~비룡대~봉두봉~탑사~금당사~이산묘(남부주차장)
원래는 태자굴로해서 광대봉으로 산행할려고 했는데 중간에 누군가 나무로 산행길을 막아놨다. 덕분에 다른길로 간다는게 오히려 지름길로 가게되었다.
출발지점 -덕천교
산행 들머리
진달래가 활짝피어 산행의 피로를 잊게한다...
이곳의 돌들은 모두 시멘트 콘크리트를 해 놓은것 같이 모래와 자갈이 섞여 다져진 바위 즉,수성암이다..
생강나무꽃이 햇볕에 눈부시다..
멀리 마이산이 보이기 시작한다.
가야만 했던 광대봉.... 멀리서 눈도장만 찍고 지나간다.
좌측의 비룡대와 중간에 있는 삿갓봉..그리고
암마이봉...
줌으로 당겨본다...
산 벗꽃..
고려말 나옹선사님이 수도했다는 고금당..지붕이 온통 금이다...ㅎ
천상굴 나옹암 지붕
비룡대....
멀리 광대봉과 고금당이.....
암마이봉 뒤로 숫마이봉이 고개를 내민다..
비룡대 올라가는 철계단.....
능선뒤로 남부주차장이 보인다.
탑영제..조금 있으면 저 저수지 옆길을 따라 벚꽃이 만발합니다.
이 산을 남쪽에서 보면 봉우리 중턱 급경사면에 군데군데 마치 폭격을 맞았거나, 파먹은 것처럼 움푹 패인 많은 작은 굴들을 볼 수 있은데 이는 타포니 지형이다. 풍화작용은 보통 바위 표면에서 시작되나 타포니 지형은 바위 내부에서 시작하여 내부가 팽창되면서 밖에있는 바위 표면을 밀어냄으로써 만들어진 것으로 세계에서 타포니 지형이 가장 발달한 곳이다. 이 산의 타포니는 옛날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고 특수한 기후조건, 즉 신생대 제 4기의 빙하기와 뒤에 온 한냉기에 형성되었다고 한다
숫마이봉....
암마이봉 남쪽 기슭에 위치하는 탑사(塔舍:전라북도 기념물 제35호)는 자연석으로 절묘하게 쌓아올린 원추형기둥과도 같은 80여 개의 돌탑이며, 마이산 신 등을 모시는 탑이 있는 암자이다. 쌓아올린 지 100여 년이 지났으나, 강한 비바람에도 쓰러지지 않아 더욱 신비감을 주며 중생들을 구제하고 만인들의 죄를 속죄한다는 뜻으로 만불탑이라고도 한다. 숫마이봉 중턱에 있는 화암굴 속의 약수를 마시고 산신에게 빌면 아들을 얻는다고 전해지고 있다.
타포니(Tafony) 지형이라 풍화작용으로 저런 웅덩이가 만들어 진다고 합니다.
은수사에서 남쪽 약 2km에는 금당사가 위치하며, 금당사 경내에는 은행나무에 조각된 금당사목불좌상(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8호)·금당사괘불(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74호) 등이 있다.
금당사 남쪽 1km 아래에 위치하는 이 산묘에는 단군 성조, 조선 태조·세종·고종의 위패를 모신 회덕전, 대한제국 말기의 애국지사·의병장 33위를 모신 영광사가 있다.
'도전 100대명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황매산(1,108m)-경남 합천군/산청군[2006. 5. 5.] (0) | 2012.02.26 |
---|---|
[16]월출산(809m) - 전남 영암군/강진군[2011. 4. 10.] (0) | 2012.02.26 |
[14]천관산(724m) - 전남 장흥군 관산읍 옥당리[2011. 4. 24.] (0) | 2012.02.26 |
[13]화왕산(756m)- 경남 창녕군 창녕읍[2011. 5. 1.] (0) | 2012.02.26 |
[12]비슬산(1,084m) - 경북 청도군/대구 달성군[2011. 5. 8.] (0) | 2012.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