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황이 날개를 활짝 펴고 하늘을 날고 있다해서 이 산의 이름은 주작산이다. 해남과 강진의 경계를 이룬 주작산(약 475m) 능선은 전형적인 암릉길이다.
그동안 지척에 있는 두륜산에 가려 빛을 보지 못했지만 특유의 거칠고 까탈스런 바윗길 덕분에 이제 남도의 대표적인 암릉산행지로 주목받고 있다.
주작산은 두륜산에서 동쪽으로 뻗어내린 산맥이 오소치에서 멈춘 뒤, 거친 기세로 솟아 오른 바위능선 한 귀퉁이에 솟아 있다.
그것도 주능선이 아닌 동쪽으로 조금 삐져나온 지능선 상에 위치한다.
그래서 주작산 산행은 이 주봉을 오르기보다 오소재 - 작천소령으로 연결되는 산줄기 전체를 타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작산 줄기는 북으로 덕룡산(432.9m)과 석문산(272m) - 만덕산(408.6m)까지 이어진 긴 능선의 일부 구간이다.
이 산자락의 대부분 구간은 바위 봉우리와 벼랑으로 형성되어 보는 맛이 탁월하다.
특히 주작산 구간은 톱날 같은 암릉이 길게 이어져 아기자기한 산행의 묘미가 뛰어나다.
주작산 산행은 접근이 편리한 오소재에서 시작해 작천소령으로 답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초창기에는 산이 거칠고 길도 없어 10시간 이상 걸렸지만, 이제는 우회로가 많이 생겨 시간이 많이 단축됐다.
건각들은 주작 - 덕룡산 줄기를 하루에 답파하기도 한다. 위험한 구간에는 어김없이 로프를 매어 놓았지만,
아직도 아찔한 구간이 많으니 초심자가 낀 팀은 주의해야 한다.
작년 이맘때 덕룡산에서 아름다운 진달래산행을 하고 올해엔 반대변 주작산을 하기로 맘먹고 새벽길을 나섰다.
오는 도중 고속도로엔 안개가 넘 심해서 은근히 걱정도 되긴했지만 다행히 도착하니 밝은 햇살이 비췬다.
때가 때인지라 전국의 산악회에서 엄청 내려와 줄곧 앞사람이 뒷통수만 바라보며 산행을 했을 정도이니....ㅉ
그래도 아직 미쳐 지지 못하고있던 진달래와 동백의 향연에 콧노래 부르며 열심히 암릉길을 헤멘다....
[산행코스] 오소재~361봉~401봉~412봉~427봉~작천소령 갈림길~주작산(428m)~팔각정~수양관광농원
'지방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암산(741.2m) - 전남 장성군 북하면 [2013. 5. 26.] (0) | 2013.06.01 |
---|---|
소백산 (신선봉 1,389m) - 충북 단양군 가곡면/ 영춘면 [2013. 5. 19.] (0) | 2013.05.23 |
백운산(1.222m) - 전남 광양시 옥룡면 [2013. 4. 14.] (0) | 2013.04.16 |
내변산(508m) -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2006. 4.23] (0) | 2013.04.01 |
덕풍계곡 용소골 - 강원도 삼척 [2007. 6. 9.] (0) | 2013.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