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산

주작산(428m) - 전남 강진군/해남군 [2013. 4. 21.]

淸巖 2013. 4. 29. 23:00

봉황이 날개를 활짝 펴고 하늘을 날고 있다해서 이 산의 이름은 주작산이다. 해남과 강진의 경계를 이룬 주작산(약 475m) 능선은 전형적인 암릉길이다.

그동안 지척에 있는 두륜산에 가려 빛을 보지 못했지만 특유의 거칠고 까탈스런 바윗길 덕분에 이제 남도의 대표적인 암릉산행지로 주목받고 있다.

주작산은 두륜산에서 동쪽으로 뻗어내린 산맥이 오소치에서 멈춘 뒤, 거친 기세로 솟아 오른 바위능선 한 귀퉁이에 솟아 있다.

그것도 주능선이 아닌 동쪽으로 조금 삐져나온 지능선 상에 위치한다.

그래서 주작산 산행은 이 주봉을 오르기보다 오소재 - 작천소령으로 연결되는 산줄기 전체를 타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작산 줄기는 북으로 덕룡산(432.9m)과 석문산(272m) - 만덕산(408.6m)까지 이어진 긴 능선의 일부 구간이다.

이 산자락의 대부분 구간은 바위 봉우리와 벼랑으로 형성되어 보는 맛이 탁월하다.

특히 주작산 구간은 톱날 같은 암릉이 길게 이어져 아기자기한 산행의 묘미가 뛰어나다.

주작산 산행은 접근이 편리한 오소재에서 시작해 작천소령으로 답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초창기에는 산이 거칠고 길도 없어 10시간 이상 걸렸지만, 이제는 우회로가 많이 생겨 시간이 많이 단축됐다.

건각들은 주작 - 덕룡산 줄기를 하루에 답파하기도 한다. 위험한 구간에는 어김없이 로프를 매어 놓았지만,

아직도 아찔한 구간이 많으니 초심자가 낀 팀은 주의해야 한다.

 

작년 이맘때 덕룡산에서 아름다운 진달래산행을 하고 올해엔 반대변 주작산을 하기로 맘먹고 새벽길을 나섰다.

오는 도중 고속도로엔 안개가 넘 심해서 은근히 걱정도 되긴했지만 다행히 도착하니 밝은 햇살이 비췬다.

 

때가 때인지라 전국의 산악회에서 엄청 내려와 줄곧 앞사람이 뒷통수만 바라보며 산행을 했을 정도이니....ㅉ

그래도 아직 미쳐 지지 못하고있던 진달래와 동백의 향연에 콧노래 부르며 열심히 암릉길을 헤멘다....

 

[산행코스] 오소재~361봉~401봉~412봉~427봉~작천소령 갈림길~주작산(428m)~팔각정~수양관광농원

 

 

산행들머리 오소재

 

오름길 뒤로돌아본 풍경...두륜산 노승봉이 보인다.

희뿌연 안개로 인해 멀리 강진만이 잘 안보인다.

 

바위암릉길이 시작되고.....

두륜산 노승봉의 멋진 위용....

앞으로 가야할 능선들....

두륜산의 가련봉과 노승봉이...

 

 

 

 

 

 

진달래가 조금 늦은감이있어  파란 잎사귀가 돋아나고 있다.

 

계속되는 암릉길속에도 평탄한 산죽길도 나 있고....

때늦은 동백이 반긴다.

 

 

 

 

 

예전에는 없던 사다리길도 새로이 만들어 뒀다.

 

 

 

 

 

 

 

 

 

 

 

지는 봄을 붙잡으려 전국각지에서 많은 산객들이 줄을 잇는다.

 

아슬아슬한 바위....

진달래와 암릉이 한폭의 그림을 수 놓는다.

 

 

 

 

 

 

 

 

 

 

 

 

 

 

 

 

 

 

 

 

 

 

 

 

 

 

 

 

 

 

 

 

 

 

 

 

 

 

 

 

 

 

관악사...

 

 

 

 

 

 

 

 

 

 

 

 

 

 

지나온 주작산 암릉.....

드디어 주작산 정상...

 

덕룡산의 멋진 암릉들....

주작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