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산

팔공산(1,151m) - 전북 장수군 장수읍/진안군 백운면 [2014. 1. 19.]

淸巖 2014. 1. 27. 12:11

 

  팔공산(八公山 1,151m)은 백두대간상의 육십령~백운산 사이에 있는 영취봉(1,075.6m)에서 서쪽으로 가지 친 금남호남정맥은 장안산(1,236.9m)~사두봉(1,015m)~수분령~신무산(897m)에 이르면 방향을 북으로 틀어 팔공산을 빚어 놓는다. 팔공산에서 계속 북으로 이어지는 금남호남정맥은 서구이재~천상데미산~오계재~삿갓봉(1,134m)~신광재~성수산(1,059.7m)~마이산~부귀산을 거쳐 완주 주화산으로 이어진다.
팔공산이란 이름은 산 동쪽 용계리 안양마을에 있는 팔성사(八聖寺)에 말사가 8개 있었는데 암자마다 성인이 한 분씩 거처하고 있었다 하여 생겼다는 설이 전해진다. 팔공산 북서쪽에서 발원하는 물줄기는 신암리 임신마을에서 섬진강 발원지인 데미샘 물줄기와 합수되어 섬진강 원류에 동참한다. 또한 이 산 남동쪽에서 발원한 물줄기는 용계리 용머리에서 금강 발원지인 수분리 뜬봉샘 물줄기와 합수되어 금강 원류를 이룬다. 팔공산은 드라이브 코스로 인기 있는 서구이재 동쪽 아래 작지만 빼놓을 수 없는 볼거리인 용추계곡 폭포지대, 이 산의 이름을 낳게 한 고찰인 팔성사, 후백제 때 쌓았다는 해발 830m 높이에 자리한 합미성, 1,013봉의 봉화대터, 정상 북사면 암벽지대 자연석굴인 돈적소 등 명산으로서의 면모를 두루 갖추고 있다. 특히 팔공산 서쪽 백운면 반송리 섬진강 상류 계류가에는 이성계가 왕위에 오르는 것에 반대해 팔공산 돈적소에 은둔하였던 만육 최양(晩六 崔瀁) 선생을 기리는 유허비, 옛날 이곳 선비들이 풍류를 즐겼다는 쌍암중대(雙巖中坮), 소(沼·일명 북소)와 폭포(일명 장군폭포)와 어우러진 기우정(己愚亭) 등이 숨은 듯 자리하고 있다. 팔공산 서릉 산줄기인 임실 성수산(聖壽山 875.9m)에는 고려 말 이성계의 조선 창업을 돕기 위해 무학대사가 기도를 올렸다는 조선 창업의 설화로 유명한 고찰 상이암(上耳庵)도 볼거리다. 산행코스는 평균 해발고도가 430m인 장수읍과 백운면 신암리에서 해발 850m인 서구이재, 해발 675m인 자고개, 해발 775m인 마령재에 차로 오른 다음 산행을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주요 등산로는 장수읍 방면에 집중되어 있다. 송천리 용추동에서 진안군 백운면 경계인 서구이재~북릉, 용계리 안양마을~팔성사~헬기장, 대성리 방면 자고개~합미성~남릉, 대성동~남릉 경유 정상에 오르는 코스가 대표적이다.
진안군 신암리 방면은 임신마을에서 남쪽 고림하계곡 임도를 따라 마령재~서릉, 또는 임신마을 동쪽 742번 지방도를 따라 만육 선생 돈적소 입구~백운교~서구이재~북릉을 경유해 정상에 오르는 코스가 전부다.

 

합미성(合米城 전북 지방기념물 제 75호)은 후백제(892~936) 때 축조된 것으로 보고 있다. 또는 백제가 강해지면서 마한을 합병할 즈음 근초고왕 시절에 축조된 성으로 추측하는 학자들도 있다. 해발 800m 높이에 돌로 쌓은 이 성은 둘레가 약 300m이다. 성벽 높이는 바깥쪽이 4.5m 안팎에, 안쪽은 1.5m 높이를 유지하고 있다.
성곽 형태는 비교적 옛 모습 그대로 남아 있는 편이다. 당시 백제성 형태다. 성 이름은 군량미를 쌓아 놓았던 성이라 하여 쌀 미자를 붙여 합미성(合米城)이다. 오랜 세월이 지나는 동안 일부 성벽은 허물어졌다. 성 아래에서 이곳으로 식수를 끌어올렸던 급수관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지금은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없다. 그러나 성곽 안쪽 하단부 기념비 옆에 옛날 주둔군들이 식수로 이용했을 것으로 보이는 샘터에서는 계속 물이 나온다. 주민들은 이 성을 '수꾸머리'라고 부른다. 이는 군사가 주둔했던 곳을 일컫는 수군지(守軍地)라는 한자음이 변형되어 유래된 것이라고 한다. 자고개와 신무산에서는 허수아비로 적을 유인하여 물리쳤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산행코스] 차고개-합미성-삼거리-팔공산-서구리재-1006-1075-오계재-와룡자연휴양림-주차장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